이미숙 (2023). 주관적 인지 저하 노인의 의사소통 파트너 교육이 인지-의사소통 중재에 미치는 영향.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, 62(2), 235-265
이미숙 (2023). The Profile of Task Performances for Cognitive-Communicative Intervention in Subjective Cognitive Decline. Audiology and Speech Research, 19(2), 149-159.
이미숙 (2023). 경도인지장애 환자의 의사소통 파트너 교육 모델에 대한 내용타당도 연구.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, 24(1), 333-343.
이미숙 (2023). The Efficacy of Cognitive-Communicative Intervention in Subjective Cognitive Decline: A Systematic Review and Meta-Analysis. Audiology and Speech Research, 19(1), 66-76.
이미숙, 김수진 역 (2022). 치매와 인지-의사소통: 인간 중심 재활. 서울: 학지사.
이미숙 (2022). 주관적 인지 저하와 경도인지장애에 대한 가정 기반 인지-의사소통 중재의 효과. 특수교육·재활과학연구, 61(4), 309-340.
이미숙 (2022). 경도인지장애 및 초고령층에 대한 가정 기반 인지-의사소통 중재의 효과.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, 23(11), 706-723.
이미숙 (2022). 주관적 인지 저하에 대한 작업기억 기반 의사소통 중재의 효과: 영역 및 적용 방식별 차이를 중심으로.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, 23,(9), 424-439.
이미숙 (2022). 경도인지장애에 대한 작업기억 기반 의사소통 중재의 효과. 특수교육·재활과학연구, 61(3), 271-299.
이미숙 (2021). The Profile of Task Performances for Cognitive-communicative Intervention in the Oldest-Old. Audiology and Speech Research, 17(4), 380-390.
이미숙 외 (2021). 인지-의사소통장애 간편검사(Brief Test of Cognitive-Communication Disorders: BCCD). 서울: 인싸이트.
김보선, 이미숙 (2021). Discourse Performance and Related Cognitive Function in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Dementia A Preliminary Study. Applied Neuropsychology: Adult, Online Publication.
이미숙 (2021). The Efficacy of Cognitive-Communicative Intervention in Mild Cognitive Impairment: A Systematic Review and Meta-Analysis. Audiology and Speech Research, 17(2), 147-167.
이미숙 (2021), 노화와 인지-의사소통. 파주: 군자출판사
이미숙 외 (2020). 신경언어장애용어집. 서울: 학지사.
이미숙 (2020). Cognitive-Communicative predictors of Mild Cognitive Impairment: A Systematic Review and Meta-Analysis (2020). Audiology and Speech Research, 16(4), 276-294.
이미숙 외 (2020). Reliability and Validity of Brief test of Cognitive-Communication Disorders (BCCD).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, 25(4), 872-889.
Lee, M. S., & Kim, B. S. (2020). Effects of Working Memory Mntervention on Language Production by Individuals with Dementia. Neuropsychological Rehabilitation, Published online, 1-25.
이미숙 외 (2020). Higher Order Cognition and Communication: A Preliminary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Brief Test of Cognitive-Communication Disorders. Audiology and Speech Research, 16(3), 236-244.
이미숙, 김수련 역 (2020). 인지-의사소통장애: 정보 처리 접근. 서울: 학지사.
이미숙 외 (2020). A Preliminary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Informant-Report Scale on Cognitive-Linguistic Abilities of the Elderly: Focused on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Alzheimer’s Disease. Audiology and Speech Research, 16(2), 167-174.
이미숙 외 (2020). Transfer Effects of Working Memory Intervention on Linguistic Abilities in Patients with Dementia. Audiology and Speech Research, 16(1), 58-69.
이미숙 외 (2019). 인지-의사소통장애 간편검사(BCCD) 개발을 위한 예비연구.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, 58(4), 321-344.
이미숙 (2019). 노인의 의사소통 관련 삶의 질에 대한 영향 요인: 삶의 질, 인지, 심리·정서적 요인과의 상관성을 중심으로. Audiology and Speech Research, 15(3), 232-240.
이미숙 외 (2019). 정상 노인과 치매 환자의 단어유창성 특성. Audiology and Speech Research, 15(2), 135-143.
이미숙 외 (2018). 연령층에 따른 노인의 비유언어 이해와 인지-언어 능력 간 상관성.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, 57(4), 115-137.
이미숙 (2018). 노인에 대한 인지-언어적 중재 효과. Audiology and Speech Research, 14(2), 119-127.
이미숙 (2017). 노인의 인지능력에 대한 언어적 예측변인.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, 56(2), 237-262.
Lee, M. S. & Kim, H. (2016).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cognitive-pragmatic language ability assessment protocol for traumatic brain injury. Applied Neuropsychology: Adult, 23(6), 436-448.
이미숙 (2016). 후천성 뇌손상 환자의 화용언어와 집행기능 간 상관성.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, 16(5), 58-67.
이미숙 (2016). 실어증 환자의 인지능력 프로파일: 체계적 고찰 및 메타분석.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, 55(1), 83-104.
이미숙 (2015). 노년기 인지-언어 능력에 대한 정보제공자 보고형 평가척도(ISCOLE)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. Communication Science and Disorders, 24(4), 275-286.
이미숙 (2015). 메타분석을 통한 주·객관적 인지-언어 평가 간 상관성 연구: 정상 노년층, MCI, 치매 환자를 중심으로.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, 16(11), 7414-7423.
이미숙 (2015). 노년층의 인지-화용언어 능력에 관한 종단 연구: 영향 요인들을 중심으로. 한국노년학, 35(3), 797-811.
Kim, B. S., Lee, M. S., & Kim, H. (2015). Subjective language complaints: are they reflected in objective language test performance? Communication Science and Disorders, 20(2), 214-221.
이미숙 (2015). 실어증 및 인지-의사소통장애 환자를 위한 언어교육 교재. 특허청 특허 제10-1518680.